반응형
거래선의 지도를 하는 데는 거래선 기업을 각각 조사, 지도하는 개별지도 방법과 집단으로 지도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는 직접 거래선에 대해 경영지도를 하 며 후자의 경우는 경영자, 책임자 등을 대상으로 경영에 관한 관리기술의 강습회, 연수회, 또는 Cost Down 등의 성과 발표회, 견학 등이 있다. 또 보통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개선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개선의 의뢰를 받거나 개선이 필요한 거래선의 선정
거래선의 자발적인 의뢰를 받아서 하는 것이 좋으나 자사의 발 주선 중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거래선인 경우나 발 주선 중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거래선인 경우에는 발주 측에서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2) 예비조사
본격적 조사를 하기 전에 예비조사를 해서 큰 문제점, 조사의 중점, 현황을 파악해 둔다. 이때 사용하는 자료는 자사에 있는 데이터, 일정한 양식에 실정을 기입한 자료 등이 있다.
(3) 예비 조사 분석
팀 멤버가 같이 조사의 포인트, 방법, 그 분담을 협의한다. 이때 거래선의 문제 발생의 원인으로 발주 측의 문제로 인한 것이 많으므로 발주 방법, 납입 지시 내용, 지불조건 등도 같이 조사해 둔다.
(4) 거래선의 조사, 분석
본격적인 조사를 행하는 데는 직접 거래선에 나가서 조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방문 일시, 조사하고자 하는 항목, 인원수 등의 연락을 잊어서는 안되며, 되도록 단시간에 마쳐야 한다.
(5) 조사, 분석에 따른 개선안의 작성
개선안 작성의 포인트는
-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 거래선 경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평이하게 설명한다.
- 주요상황, 착수할 절차를 명시한다.
- 거래선의 자주성을 존중하기 위해 개선안을 몇 가지 준비하여 거래선 실정에 맞게 결정토록 준비한다.
- 개선안의 설득력을 높이기 위해 보완 자료를 준비한다.
반응형
댓글